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프리랜서 돈 못받았을 때, 내용증명 보내는 방법(예시, 비용 등등) 프리랜서로 일하다보면 돈 못받을 때가 있다. 처음에는 좀 늦나? 좀만 기다릴까? 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쫄린다. 건별로 돈을 받는 입장에서 하나 제대로 못받으면 타격이 크기 때문. 그럴 때는 그냥 넘어가지 말자. 내 노동력과 시간이 아깝지 않은가. 일단 제일 먼저 취할 수 있는 건 내용증명 보내기이다. 이건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기도 하다. 내용증명이란내용증명은 우체국을 통해서 "언제, 어떤 내용을 누구에거 보냈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문서다. 단순히 겁주기위해서가 아니라 민법상 채권회수 절차의 첫단계로 인정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건 당신이 주기로한 돈이 아직 안들어왔다, 정해진 기한동안 입금 안하면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것이다. 내용증.. 2025. 11. 9.
프리랜서는 고용노동부의 보호를 받지 못함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프리랜서 부당 대우 시 대응 가능한 주요 법률 6가지 나는 프리랜서다.그래서 법적으로 근로자로 보호를 받지 못한다. 즉, 부당한 일이 생겨도 고용노동부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것. 근로기준법에 맞질 않으니 답답한 일이 더럽게 많다.그래서 적어놓는 프리랜서가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알아야할 법률을 정리해봄 근로기준법 - 근로자로 인정 받는게 가능할 때 잉? 스러울거다. 근로기준법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면서 뭔 근로기준법? 할 수 도 있음. 하지만 프리랜서라고 하더라도 근로자처럼 일했다면 법적으로 특수고용형태 즉, 위장 프리랜서로 보고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출퇴근 시간과 업무 장소를 회사가 정한 경우 개인 장비 대신 회사 장비를 사용한 경우 지시, 감독을 상사가 직접하는 경우매달 고정급 형태의 보수를 지급하는 경우이런 경우에는 근로자.. 2025. 11. 8.
직장 내 괴롭힘, 참지 마세요 | 신고 절차와 증거 확보 꿀팁 ">직장 내에서 폭언이나 모욕, 따돌림 등은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실제로 최근에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을 뉴스에서도 종종 볼 수있다. 하지만 막상 내 입장이 되면 이게 진짜 직장 내 괴롭힘인가? 신고해도 되나? 불이익은 없나? 하는 생각에 망설이게 되는 건 사실,하지만 분명한 건 직장 내 괴롭힘은 근로기준법에 의해 금지된 불법행위라는 것이다. 단순히 기분이 나쁜 일이 아닌, 법적으로 신고하고 조치 받을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직장 내 괴롭힘은?근로기준법 제76조의 2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나 관계 우위를 이용,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즉, 권력을 이용해서 부당한 대우를 하는 것이다. 반복적인.. 2025. 11. 7.
부당해고에 대처하는 방법 (feat. 내가 그냥 있을 것 같냐)-부당해고 구제신청 방법, 결과 한 2020년쯤.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었다.말도 안되는 트집과 막말을 버텼는데 결국은 안맞다고 나가래 ㅋㅋ 대표가 자기 회사는 마케터들이 한달을 못버티고 나가는게 이상하다고 할 때부터 알아봤어야 했는데.. 오전에 뭐 달라고 하니 당장 오후에 성과를 내놓으라고 하고, 막말도 심하게 하고 해서 말은 좀 조심해달라고 요청했더니 나가란다.살이 많이 쩠네, 여직원은 이래야지, 살을 빼라 등등은 기본으로 하고,누가봐도 외부에서 마케팅 제안서 받아와놓고 내가 물어보니까 지가 만든거라고! 어떻게 그딴 소리를 할 수 있냐고 소리소리를 지르는데... 아니.. 다른 마케팅 회사 이름 떡하니 찍혀있어서 물어봤더니 왜 지랄이야. 자기가 이전에도 회사 운영했는데 자기때문에 스트레스 받아서 갑상선항진증 걸린 직원이 있었다고 자랑.. 2025.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