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반으로 2026년 예정이거나 확장 가능성이 있는 업종 사업 중 글쓰기, 번역, 다국어 컨텐츠 창작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부 사업 정리 해보기로 함.
정확한 건 해당 기관 홈페이지 공식 공고문을 확인할 것.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
- 주최 기간 : ARKO, 문화체육관광부
- 주요 내용 및 특징
- 문예진흥기금 공고 사업 안내 중 2026년 공모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음
- 지원 대상 : 문학, 시각예술, 다원예술 등 창작자 및 단체
- 지원내용 : 창작지원, 발표지원, 온라인미디어 활용형 등
- 예 :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아트 체인지업'유형 포함됨
- 문학, 번역, 다국어 콘텐츠 창작자도 문학 범주나 온라인 미디어 활용형 창작자로서 신청 가능성이 있음. 특히 번역 + 글쓰기 활동이 창작으로 인정되는 경우 적용가능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KPIPA) 출판 콘텐츠 수출지원사업
- 주관기관 : KPIPA
- 볼로냐 아동도서전 참가사 및 위탁도서 모집 공고 등 2026년 공고 카테고리에서 출판, 수출 관련 공고 확인됨
- 지원내용 : 출판물, 해외전시참가, 수출홍보자료 지원 등
- 번역가나 다국어 콘텐츠 제작자로 출판물 번역본, 해외시장용 도서.콘텐츠 제작 형태로 참여 가능성이 있음.
- 특히 다국어 역서 제작이나 해외 출판 연계가 가능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음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콘텐츠 지원사업(2026년 예정)
- 주관기관 : KOCCA
- 2025년 사업 공고를 통해 콘텐츠 지원사업의 평가 절차 및 요건이 발표됨
- 2026년 예산안으로 문학, 번역 지원 분야 예산이 증액됨
- 영상 및 웹툰 중심이지만 다국어 콘텐츠, 글쓰기 기반 콘텐츠, 혹은 번역 기반 콘텐츠가 콘텐츠 산업으로 인정된다면 신청 가능성이 있음
- 번역을 포함한 콘텐츠 제작 및 유통망 확보가 중요
서울경제진흥원+서울시 크리에이티브포스 지원사업
- 영상미디어 창작자 위주 사업이긴 하지만 콘텐츠 생산, 운영 인프라 지원 측면에서 참고할 수 있음
- 주요 내용 : 서울시에서 활동 가능한 1인 미디어 창작자 모집 -> 스튜디오, 장비, 교육, 멘토링 등 혜탸ㅐㄱ제공
- 번역, 다국어 컨텐츠 창작자라면 영상, 자막, 다국어 채널 운영 등의 연계 가능성이 있음
- 번역 또는 글쓰기 컨텐츠도 영상과 결합하여 다국어 자막이나 해외 유통 가능성이 있는 형태로 기획 시 사업 지원 조건에 부합 가능
- 채널이나 SNS 활동 이력, 콘텐츠 기획안 등을 미리 정리해두면 신청 시 유리

서울시 청년 창작자 분야 지원사업(콘텐츠 분야)
- 만39세미만 청년 창작자 대상, 전시, 굿즈 제작, 사업화 컨설팅 등 지원
- 자신의 글쓰기 컨텐츠나 번역컨텐츠를 창작물로 보고 전시, 온라인발표, 콘텐츠 상품화 등일 미리 기획해 둘것
- 사업화(굿즈, 저작권 등록, 펀딩 등)까지 고려하면 평가 점수가 올라갈 수 있음
'프리랜서가 알아야 할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리랜서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2025년 최신 정리) (1) | 2025.11.16 |
|---|---|
| 프리랜서 절세 방법 3.3%는 왜 떼는 걸까 (0) | 2025.11.13 |
| 프리랜서 계약서에 꼭 넣어야 하는 핵심조항 7가지 (1) | 2025.11.12 |
| 프리랜서 대금 미지급 시 지급명령 신청 하는 법 (0) | 2025.11.10 |
| 프리랜서 돈 못받았을 때, 내용증명 보내는 방법(예시, 비용 등등) (0) | 2025.11.09 |